방아타령은 선소리 산타령의 것이 있고 토속민요나 각 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가 두루 불리운다.
사설에서는 드나듦이 있으나 선소리 산타령의 경우에는 산타령을 다 부르고 나서 뒤를 대어 부르는 입창이고 서도소리에서는 곡조가 다르다.
방아타령은 말 그대로 일 하면서 부르는 농요, 민요로 짜여진 “경복궁 타령”과 같이 된 것도 있다.
사설 방아 타령, 자진 방아 타령도 음악적 구성은 그다지 다르지는 않으나 지방마다 전해오는 양식이 조금 달라서 또한 말 붙이는 것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다.
민요의 분포 지역과 지역적 경계 지역과는 어느 정도 들어맞는 것이 상례인데 이 경우에는 주로 경서도 소리이기 때문에 형태가 비슷하다.
이 방아타령은 현재 경기도 동북부나 서북부 지역에서 농요로 전승되는데 서북부 지역의 방아타령이 유사하다.
노래 : 구대감.김옥엽
원반 : Victor KJ-1074-A
녹음 : 1936. 3. 3
에로 좋구나
오초동남 너른 물에
오고가는 상고선은
순풍에다 돛을 달고
북을 두리둥실 울리면서
어기여차 닻 감는 소리
원포귀범이
에헤라 에헤야 이 아니란 말가
에헤에야~
에헤라 우겨라 방애로구나
너는 누구냐 나는 누구냐
황송의 방애로
에야 조자룡이라
노다~ 좋구나
청천에 완보를 허여
박석티를 얼른 지내
남원지경 당도허니
백사청청유색시는
내 낭군 노던 데요
어촌당락 너른 뜰은
운림 간 데가 신작로라
광한루야 잘 있느냐
오작교야 네가 널 무사더냐
에헤에헤야~
에아라 우겨라 방애라
벽상에 걸린 글씨
뉘 글씨이지 따로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