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중중모리 (엇모리) (5) 정남희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인, 중앙대 강사) 정남희(1905-1984)는 최옥산(1905-1956), 안기옥(1905-1974)등과 동년배로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에 든다. 이 세사람은 모두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뒤 그곳에서 생을 마쳤는데 정남희는 특히 북한에서 공훈배우, 인민배우,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하면서 활약하였다.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Various Artists

본곡은 독주곡 형태인 이러한 산조음악을 합주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장단구성은 산조와 같이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로 되어 있다. 여기에 편성된 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아쟁, 장고로 이루어져 있다.

신 수궁가 (하) 정남희

원반 : REGAL C348 <진양조> 행화는 풍랑을 쫓고 명월은 잠겼는데 영가도 울고 사공도 울고 역군 화장이 통곡을 허며 아깝다 심소저야 늙은 부친 눈 어두운 일을 평생으 한이 되야 일후잔명을 스사(스)로 끊게되여 어복 충혼이 되오 그러 우리가 년년히 사람을 사다가 이 물에다가 제수를 허니 우리 후사 잘될소냐 명년부터는 이 장사를 그만두자 닷감어...

화류정환 정남희

원반 : Columbia C2024 <중모리> 동방이 득의 허니 만물이 생심이라 청제가 동순험에 도처마다 춘광이요 방방곡곡 화기로다 마른 나무 잎이 피고 시든 방초 싹이난다 초목 금수도 개유락이라 각색 화초 너울너울 춘광을 자랑허고 비금주수 짝을 지여 농춘 화답을 왕래헌다 백화 쟁발 난망중에 탐향봉접난무헌데 구십춘광이 좋을시고 옥시내에 드린 버들 물...

어사 춘향모 상봉 (하) 정남희

원반 : REGAL C292 <중모리> 못믿겄네 못믿겄네 얼골도 못믿겄네 책방으 게실때는 보고 보고 또 보아도 귀골노만 상(생)것기로 믿고 믿고 믿었더니 믿었던 것이 허사로구나 이 사람아 이 사람아 저 지경이 왼일인가 사람을 여러를 상헐 사람 춘향 모친이 광기가 일어나서 후원으로 들어가더니 단 독 물을 번듯드러 쾅~쾅~부딪치며 백일산제를 지내면은 아...

진양조 (1) 정남희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인, 중앙대 강사) 정남희(1905-1984)는 최옥산(1905-1956), 안기옥(1905-1974)등과 동년배로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에 든다. 이 세사람은 모두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뒤 그곳에서 생을 마쳤는데 정남희는 특히 북한에서 공훈배우, 인민배우,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하면서 활약하였다.

중모리 (3) 정남희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인, 중앙대 강사) 정남희(1905-1984)는 최옥산(1905-1956), 안기옥(1905-1974)등과 동년배로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에 든다. 이 세사람은 모두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뒤 그곳에서 생을 마쳤는데 정남희는 특히 북한에서 공훈배우, 인민배우,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하면서 활약하였다.

잔모리 (6) 정남희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인, 중앙대 강사) 정남희(1905-1984)는 최옥산(1905-1956), 안기옥(1905-1974)등과 동년배로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에 든다. 이 세사람은 모두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뒤 그곳에서 생을 마쳤는데 정남희는 특히 북한에서 공훈배우, 인민배우,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하면서 활약하였다.

청류원 정남희

원반 : REGAL C288 <중모리> 세상은 거짓같고 인심은 호박헌데 뉘를 믿고 사잔 말가 동원에 도리화는 나비 믿고 피엿스며 시내가의 실버들은 원망 믿고 느러졌다. 구십춘광 다가도록 나만 홀로 쓸쓸허니 젓나니 옷깃이오 흘으나니 눈물이라 지난 밤 모진 광풍 봄비를 아서 가고 서산으 지는 해는 내의 청춘을 아서 간다. 가는 봄도 가석허나 이내 청춘이...

어사 춘향모 상봉 (상) 정남희

원반 : REGAL C292 <중모리> 어허 저걸인아 알심없는 저걸인 눈치몰으는 저 걸인 남원 부중 성외 성내 나의 소문을 못들었나 무남 독녀 딸 하나 옥중에다 넣어두고 명재경각이 되였난데 동냥은 무슨 종냥 경향없네 나가소 어사도사 어른말 문전 나그네 허연대접이라 동냥은 아니 줄 망정 구박출문이 웬일이냐 나를 몰라 자네가 나를 몰라 춘향 어머니 회(...

탐승가 (상) 정남희

원반 : REGAL C377 <중모리> 어화 청춘 벗님네야 부귀와 공명을 좋다마소 이주륙국 평탄허고 만리장성 높이 쌓든 만고 영웅 진시황과 백만 대병 호령허여 삼국 세력 독점허든 일세 영웅 조맹덕도 지금와서 쓸데 없다 장생극락 방법 얻어 천지 주인되야 보세 삼삼오오 죽장을 끌어서 광농 춘화 구경허고 동방 명승 차저가니 무등산이 여기로다 해양 고도 일...

탐승가 (하) 정남희

원반 : REGAL C377 <중모리> 보리 쌍수 푸르러 있고 백운류수 깁어난디 시여나니 쇠북은 뗑뗑 삼생 인연을 깨울세라 송하동자 갈킨(가르친의 남도 사투리) 길로 백운 속을 드러가니 양사암이 석불이라 오루봉이 높아있고 취하자련 깊어난디 비류직하 급한형세는 은하수를 ?K아내니 용출 폭포가 여기로다 탕영 탁족 허고나니 번연후라 상쾌허구나 승피백운 높...

진양조 (2) 정남희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인, 중앙대 강사) 정남희(1905-1984)는 최옥산(1905-1956), 안기옥(1905-1974)등과 동년배로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에 든다. 이 세사람은 모두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뒤 그곳에서 생을 마쳤는데 정남희는 특히 북한에서 공훈배우, 인민배우,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하면서 활약하였다.

중모리 (4) 정남희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인, 중앙대 강사) 정남희(1905-1984)는 최옥산(1905-1956), 안기옥(1905-1974)등과 동년배로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에 든다. 이 세사람은 모두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뒤 그곳에서 생을 마쳤는데 정남희는 특히 북한에서 공훈배우, 인민배우, 평양음악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하면서 활약하였다.

경기가 (상) 정남희

원반 : REGAL C344 <중모리> 죽장망혜 대활보로 삼각산으 높이올나 좌우 산천을 들어보니 용반호거 안산이오 정도가 이천되니 상영이 명월이라 풍덕으로 적성허고 숙예로 개성허니 옹인의 인사들과 양지의 지장들은 윤강을 시흥허고 무용을 진위타가 오대산 속리산의 숙원이 결정 되니 성은을 입고 오니 인천이 안이든가 장단에 쉬지않고 연천으로 흘러처서 태극...

경기가 (하) 정남희

원반 : REGAL C344 <중모리> 마전에 심은 면마 시시로 무성허니 시화년풍되았으니 사해가 부평이라 부평이라 광주 산성다시올나 엄죽하에 자리허고 시수를 펄처놓고 풍월을 읊으면서 양성에 바람쐬여 진금을 떨친 후의 고양천을 바라보니 흘러 가는 양천이라 농사계를 틈을 얻어 지평에다 도끼 갈아 왼 어깨으 들어메고 양평 가평을 들어가서 낙낙장송 비여 내...

백낙준 거문고 산조 엇모리

백낙준의 거문고 산조는 박석기, 신쾌동 등 자신이 직접 전수한 1세대 제자와 이들을 통하여 배출된 한갑득을 비롯한 2,3세대 제자들에 의해 활발히 전승되고 있다. 50대 중반의 연주로 빅터 음반 KJ 1302-1304에 전하는 백낙준의 거문고 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엇모리, 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연주시간 19분 19초에 달한다.

중중모리 Various Artists

본곡은 독주곡 형태인 이러한 산조음악을 합주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장단구성은 산조와 같이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로 되어 있다. 여기에 편성된 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아쟁, 장고로 이루어져 있다.

엇엇엇! 엇모리! 이지호

하나 둘 셋 하나 둘 하나 둘 셋 하나 둘 엇엇엇 엇모리 하나가 없어 어색해 하나가 많아 이상해 나를 이해 못할걸 엇엇엇 엇나갈래 하나 둘 셋 하나 둘 하나 둘 셋 하나 둘 엇엇엇 엇모리 하나가 없어 특별해 하나가 많아 재밌어 나는 이미 충분해 별처럼 빛나거든 엇엇엇 엇모리라네 손맞춰보자 엇갈려도 좋아 눈맞춰보자 엇갈려도 좋아 계속하면 점점 맞춰질거야

사설 난봉가 (중중모리) 경기도 민요

고추밭 한골도 못매는 잡년이 이마털 뽑느라 세월이 간다 아따 서방님 그런말 마소 이마털 뽑는게 보기가 싫거든 대머리진 년을 데려다 사소 5. 달도밝소 별도밝소 월명산천에 저 달이 밝소 달도밝소 별도밝소 월명산천에 저 달이 밝소 아무도 없는 거리에서 처녀 총각이 ??한다 6.

중모리, 중중모리 Various Artists

다스름을 시작으로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거치며 휘모리를 듣다보면 가야금 산조가 얼마만큼 화려해 질 수 있나 체험 할 수 있는 음악이다.

남도잡가 (중중모리) 민요

삼월 삼짓날 연자 날아들고 호접은 편편 나무나무 속잎나 가지꽃 피었다 춘몽을 떨쳐 원산은 암암 큰산은 중중 기암은 죽죽 메산이 울어 천리 시내는 청산으로 돌고 이 골물이 주르르르르르 저 골물이 퀄퀄 열해 열두골물이 한테로 합수쳐 천방자 지방자 얼턱져 구부져 방울이 버큼져 건너 병풍석에다 아주 콰앙쾅 마주 쎄려 산이 울렁거려 떠나간다 어디메로 ...

(아니리) 이때여 광주시내 병원이란 병원은 임진택

(아니리) 이때여 광주시내 병원이란 병원은 (자진모리) 광주의 전 시민이 도청으로 (엇모리) 계엄군 거동봐라 (빠른 엇모리) 계엄군 거동봐라

만가1 (중모리,중중모리) 민요

어디를 갈까나 어이를 갈까나 에헤에헤헤 에헤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 가지 끝에 앉지 마라 니가 울면 내가 서러워 북망산천 갈 수 없다 어디를 갈까나 어이를 갈까나 에헤에헤헤 에헤야 어디를 갈까나 어이를 갈까나 에헤에헤헤 에헤야 사람인생 백년인생 다 살지도 못 할 인생 칠성판도 못 지고서 이렁 저렁 홀로가네 어디를 갈까나 어이를 갈까나 에헤...

진양됴 안기옥

해설: 김해숙(가야금 연주자, 중앙대 강사) 안기옥(1905-1974)은 월북한 가야금 명인 최옥산(1905-1956), 정남희 등과 동년배이며 가야금산조의 제2세대 명인에 드는 사람이다. 제3세대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성금연(1923-1987)이 그를 스승으로 꼽았으나 음악내용적 전승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농부가 전라도 민요

인정전 달 밝은 밤 세종대왕 놀음이요 학창의 푸른 솔은 산신님의 놀음이요 오뉴월이 당도하니 우리농부 시절이로다 패랭이 꼭지에다 장화(개화)를 꽂고서 마구잽이 춤이나 추어버세 5. 저 건너 갈미봉에 비가 묻어 들어온다. 우장을 허리두르고 삿갓을 써라 (중중모리) (받는소리) 어화 어화 여허루 상사듸여 1.

농부가 (자즌농부가) Various Artists

인정전 달 밝은 밤 세종대왕 놀음이요 학창의 푸른 솔은 산신님의 놀음이요 오뉴월이 당도하니 우리농부 시절이로다 패랭이 꼭지에다 장화(개화)를 꽂고서 마구잽이 춤이나 추어버세 5. 저 건너 갈미봉에 비가 묻어 들어온다. 우장을 허리두르고 삿갓을 써라 (중중모리) (받는소리) 어화 어화 여허루 상사듸여 1.

집터 잡는데 흥보가

(아니리) 그때여 흥보를 살리려고 중이 하나 내려 오는디 (엇모리) 중 나려온다 중 하나 나려온다. 저중의 거동 보소.

해금산조 서용석, 박종선

서용석류 <해금산조>의 장단구성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빠른 중중모리-자진모리-엇모리로 되어 있는데 이 연주회에서는 25분짜리 산조를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로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원인 김성아가 김청만의 장고반주에 ?Я羚?15분으로 줄여 연주한다.

북 (Prod. SLO) 배연서 (WEBSTER B)/오담률 (CHIN CHILLA)

We hit the 북 sounds like 쿵 Make it new ya 둥둥둥 Drum tap 눈 풀린 채로 무댈 걸어다녀 하품품품 Prrr Flexin’해도 별 감흥 없어 Web B가 입은 예쁜 옷 용포같아 그건 내꺼 맞아 Asian bass (쿵쿵) 총 대신 화살 장전 (Pew Pew Pew Pew) 진양조 중모리 ya 중중모리

해금 독주(悲) 김영재

엇모리 장단에 얹어 우리 삶에 대한 슬픈가락들을 모아 메나리제,계면조,수심가제를 엮어 즉흥적인 수성 가락을 첨가 하여본 해금독주곡이다.

5 5 5 Masquerade

A cinq heures cinquante-cinq Awake with open eyes A drift upon the nigh And miles away from land Five fifty five Five fifty fiv A cinq heures cinquante-cinq Ante meridiem Too late to end it now Too...

태평소 시나위 서용석, 박종선

장단구성은 굿거리 -> 자진모리 -> 엇모리 -> 동살풀이 -> 굿거리로 이루어져 있다.

피리산조, 정재국류 Various Artists

곡의 구성은 느린 진양으로 시작하여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그리고 빠른 자진모리로 되어 있다. 피리산조의 특징은 두꺼운 겹리드에서 울려 나오는 탁하듯 부드럽고 애절한 선율과 특수한 주법인 서침이 나 목튀김, 혀굴림 등에서 찾을 수 있다. * 진양 12장단, 중모리 15장단, 중중모리 36장단, 자진모리 88장단

시나위 서용석, 박종선

장단구성은 굿거리 -> 자진모리 -> 엇모리 -> 동살풀이 -> 굿거리로 이루어져 있다.

해금산조, 지영희류 Various Artists

곡의 흐름이 느린 진양에서 시작하며 보통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로 되었으며 음색이 매끄러우며 특히 삼성부에서 내는 음색은 예리한 느낌을 갖게한다. * 진양 17장단, 중모리 12장단, 중중모리 16장단, 자진모리 48장단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 -- 4. 중중모리 문재숙

중중모리...

사물과 태평소 시나위 서용석, 박종선

장단구성은 다스름의 휘모리를 거쳐 굿거리-자진모리-엇모리-동살풀이-휘몰이-굿거리로 끝을 맺고 있다.

대금산조, 서용석류 Various Artists

대금산조는 보통 느린 진양에서 시작하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로 구성 되었으며 음색의 청량함과 강렬한 농음 그리고 여러 음정을 흘러 내리며 흔들고 밀어 올리는 취법과 청(갈대 속껍질)의 울림에서 대바람(竹風)의 맛을 느낄 수 있다. * 진양 11장단, 중모리 12장단, 중중모리 42장단, 자진모리 80장단

플루트와 기타를 위한 소리 III 이병욱

리듬 구성은 엇모리, 자진모리, 등의 민속기본장단을 변용하여 새롭게 구성된 패턴으로 멋과 기교가 뛰어나다. 화성은 3도 화성 구성에 기본을 두고 있으면서도 부가적인 음의 첨가로 인해 탈고정화의 자유로운 진행을 이루면서 두 악기의 조화로운 색채감을 돋보이게 한다. 연주: 플루트/이홍규, 기타/이병욱

(아니리) 계엄당국은 김대중씨를 비롯한 임진택

(아니리) 계엄당국은 김대중씨를 비롯한 (중모리) 얼룩무늬 공수부대 (자진모리) 광주 신역 광장에서 (중중모리) 허허 이게 웬일이여

남도 무속음악 장암염불 신수덕

남도에서는 중모리 장단으로 된 염불을 <긴염불>이라 이르고 중중모리 장단으로 된 염불을 <자진염불>이라 이른다. 신수덕이 부른 염불은 중중모리 장단으로 된 <자진염불>이며, 두 장단에 “나무야 나무야 나무로구나. 나무아미타불”하고 뒷소리를 부르게 되어 있고, 앞소리는 여러 장단에 걸쳐서 부르게 되어 있는데 길이는 불규칙하다.

임당수 당도한데 장영찬

(엇모리) 한 곳 당도허니 이난 곧 임당수라 어룡이 싸우난듯 벽력이 나라는 듯 대양 바다 한 가운데 바람 불고 물결쳐 안개 뒤섞어 자자진 날 갈길은 천리 만리나 남고 사면이 거머어득 저물어져 천지적막헌디 까치 뉘 떠들어와 뱃전머리탕탕 물결이 워르르르 출렁출렁 도사공 영좌이하 황황급급허여 고사지계를 차릴제 섬쌀로 밥짓고 온소잡고 동우술 오색탕수 삼색실과를 방위

북간도 아리랑 신영희

<중몰이>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1 개나리 봇짐을 짊어지고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후렴) 2 아버지 어머니 어서 와요 북간도 벌판이 좋답디다 (후렴) 3 쓰라린 사슴을 움켜쥐고 백두산 고개를 넘어간다 (후렴) <엇모리> (후렴)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1 문전의

해금산조(지영희류) 김영재

고 지영희(1901~1980) 명인의 해금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평조와 경기도 풍의 선율이 자주 나오며 남도계면조와 조화를 이뤄 지루함이 없고 아기자기한 재미가 돋보인다.

Mk. 5:5 꿈미

Blessed are the meek,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Matthew five five Amen Blessed are the meek,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Matthew five five Amen

5 노란인간

문득 길을 걷다가 빛에 부딪혔어어떠한 따스함이나 마른향보단몽롱한 기분이 가슴갈 맴돌았어우주를 나는듯한 기분이었지그 때 까진 그 감정이 뭔지 몰랐어그냥 눈이 부셨기에 뒤로 물러서아무 말 없이 작은 가슴떨림으로너를 보곤했지 용기가 없으므로난 날았어 조용한 두근거림조그만 그,그 어린 마음이 내 넋을 데려가텅 빈 가슴,당신의 미소를 채워 넣지시간은 무르익어가...

5 Alex Britti

5, le cose che vorrei capire in questo mondo che non parla ma quando vuole si lamenta e quando vuole si fa sentire 5, minuti di malinconia che poi non serviranno a niente perche se vivo nel passato non

아쟁산조 서용석, 박종선

<아쟁산조> 역시 남도 음악어법인 판소리 더늠으로 만든 산조로 장단구성은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율을 연결시켜 표현할 수 있는 아쟁의 장점으로 인하여 애절하고도, 한이 서린 감정표현이 극대화되고 있다. 이 연주회에서는 서영호가 16분 짜리로 연주한다.

눈사람 신영희

<중중몰이> 눈이 오네 눈이 오네 함박눈이 나리네 함박눈을 받어 가지고 때때 옷에 두르고요 싸락눈을 받어 가지고 떡 방아를 찐다네 눈사람 눈사람 하얀 눈사람 우쭐 우쭐 걸어가는 하얀 눈사람 각시방 영창가에 수정 고드름 따러 가는 하얀 눈사람 오늘도 내일도 돌아오면 포근한 봄이 온다네 하얀 눈사람 하얀 눈사람 <엇모리> 눈이 오네 눈이 오네 함박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