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자진 난봉가 Various Artists

넘어간다 넘어 넘어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간다 * 에헤에 에헤야 어야 더야 어허야 어러험마 듸여라 내 사랑아 실죽 밀죽 잡아당길줄만 알았지 생사람 죽는줄 왜 몰라주나 * 후렴 무정방초는 년년이 오건만 한번 간 우리님은 가고 영절이라 * 후렴 사랑 사랑 사랑아 내가 놀던 사랑 한아름 덤썩 안구서 단둘이 놀던 사람 * 후렴 이 몸이

긴난봉가.자진난봉가 Various Artists

사랑 17) 난봉가 - 긴난봉가 아하 에헤야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헌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어헤 에헤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 자진 난봉가 넘어간다 넘어 넘어 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간다 * 에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러럼마 디여라 내 사랑아 물속에 잠긴 달은

긴 난봉가, 자진 난봉가 이선영

- 긴 난봉가 * 아하 – 이 –에헤이야 어라함마 둥둥 내 사랑아 1)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2)만경창파 거기 둥둥 뜬 배야 한많은 이 몸을 싣고나 가렴 - 자진난봉가 1)넘어 간다 넘어 넘어 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간다 * 에 – 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러함마 디여라

사설 난봉가 Various Artists

* 에헤야 어야 어야야 디야 내 사랑아 에헤 왜 생겼나 왜 생겼나 고다지 곱게도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왜 생겼나 고다지 곱게됴 왜 생겼나 무쇠 풍구 돌 풍구 사람의 간장을 다 녹여내누나] * 에헤어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에헤 앞집 처녀가 시십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이 목 매러 간다 [앞집 처녀가 시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이 목매러 간다 사람 죽...

연평도 난봉가 Various Artists

* 나나나나 산이로구나 아니 놀고 ?할소냐 소연평산은 칙산이요 연평산은 춤산이로다 우리집 새서방 재간이 좋아서 게딱지 타고서 낚시질 간다네 낙가리봉에 엿 사다 붙인거 슬슬 동풍에 다 녹아 나리네 깐죽깐죽 시누이 잡년 범 난골로 몰아 드려라 돌아오네 돌아오네 버렴뿌려 배 돌아오네 정산곳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이삼일만에 배 돌아오네

긴 난봉가 Various Artists

* 아하아 에헤야 에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헌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 에헤 에헤애 어럼마 등등 내 사랑아 오금이 오실오실 춥고 골머리 사지통 나는 데 임자로 연하여 난 병이로다 * 후렴 만경창파에 거기 둥둥 뜬 배야 게 잠깐 닻 주어라 말 물어보자 * 에헤헤 에헤로구나 덩기덩기여라 닐니리 고만 두잤구...

난봉가 (2) Various Artists

아하아하에헤야하 에헤야 어렴아 둥둥 내 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에헤 에헤야 어럼아 둥둥 내사랑아 (잦은 난봉가) 넘어 넘어간다 넘어 넘어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울을 넘어간다 에야디야 에헤야 에야디야 애야 어르마 둥둥 내 사랑아 질라래비 훨훨 모두 날라가고 주렴발 주렴발 모두 내 사랑아 에야디야에야

난봉가 (1) Various Artists

아하아하에헤야하 에헤야 어렴아 둥둥 내 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에헤 에헤야 어럼아 둥둥 내사랑아 칠석장검 갈아들고 떠나가신 임은 산성을 지키고 돌아온다고 에헤 에헤야 어럼아 둥둥 내사랑아 백일청청 둥둥 떠나가는 기럭아 북방의 소식을 내가 전하려마 (잦은 난봉가) 넘어간다 넘어 넘어간다

중 난봉가 Various Artists

노래 : 김옥엽. 민형식 아 에헤아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사면십리 능파 속에 님 찾아 갈 길이 모도 난감이라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슬픈 동풍에 궂은 비가 오고 시화나 연풍에 님 상봉한다 에헤 에헤로구나 둥기 당기어라 닐리리 고만두랴...

느진 난봉가 Various Artists

노래 : 김옥엽. 민형식 에헤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떠덜떨거리고 나는 간다 에헤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노가지 향남귀 오색의 당사실로 쌍그네 매고 임하고 나허고 단둘이 뛰자 에헤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자진 육자배기 Various Artists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어지는 소리로 첫손을 꼽는 이 소리는 전라도 소리의 특징을 고루 지닌데다가 가락이 아름답고 가사도 정교한 시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본래 육자배기는 콩밭을 매는 아낙네나 김매는 농부들 혹은 나무꾼들이 부르던 순박한 소리였으나 소리꾼들 손에 가락과 가사가 가꾸어져 세련되게 불려지고 있다. 육자배기라는 이름은 이 소리가 여섯박 장단으...

자진 방아타령 구대감.김옥엽

사설 시조, 사설 난봉가, 엮음 수심가, 엮음 아리랑 하듯이 노랫말의 댓구와 장단을 비껴서 엮은 것이 예전에는 늘 이렇게 “자진”이라고 표기한 것인데 글자 그대로 “잦다”에서 파생된 말을 제목 그대로 붙였다. 경기민요나 농요에서도 이렇게 부르기도 하나 서도소리는 지르는 목을 가지고 나가서 중모리 장단과 사설에 매우 어울린다.

대풍류 Various Artists

느린 염불 장단으로 시작하여 조금 빠른 반염불에 이어서 관악영산회상의 삼현도드리(삼현타령) 1장을 연결부분으로 삼아 느린 허튼타령, 중 허튼타령, 자진 허튼타령을 연주하고 굿거리로 넘어간다. 그 다음은 자진 굿거리로 이어지며 경기 무속음악에서 무당이 뛸 때 연주되는 대표적 리듬인 당악(민속리듬의 명칭: 덩따기 덩딱)이 연주되어 절정에 이르게 된다.

난봉가 김옥심

<긴난봉가> <후렴>아~에헤야 에~에헤야 어라험마 둥둥 내 사랑아~ 에 만경창파에 돛달고가는 저 배야 게 잠깐 닻놓고 게 머물어주소 오금이 오실오실 춥고 골머리 사지통 나는 건 임으로 연하여 난병이로다 <자진난봉가> 에헤에 에헤야 어야더야 <후렴>어라험마 디여라 니가 내사랑아 넘어넘어 간다 훨훨 넘어 간다 올배~설배 천지이배 가네 밤새이 배가시니 ...

난봉가 민중가요모음

이`~~~이~~~~이야이이이이~~ 아이~아이`~~우~~~웅우 오~~오~~~이야리이이이이이`~~ 우~~우~~~오이리야이이이이~~ 에이`~~~우~~~우~~~~

난봉가 악단광칠

*아하 에헤야 에헤 헤 어허야 어러험마 둥둥 내 사랑아 넘어 간다 넘어 넘어 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 간다 *에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러험마 디여라 내 사랑아 실죽 밀죽 잡아 당길 줄만 알았지 생사람 잡는 줄 왜 몰라주나 *에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러험마 디여라 내 사랑아 한 잔을 들고 또 한 잔을 드니 아니 나던 심정이

자진방아 타령 Various Artists

얼씨구 절씨구 자진 방아로 돌려라 아하아 에헤이요 에헤이여라 방아흥아로다 정월이라 십오일 구머리장군 긴코배기 액맥이 연이 떴다 에헤라 디여 에헤이요 에헤이여라 방아흥아로다 이월이라 한식날 종달새 떴다 아하아 에헤이요 에헤이여라 방아흥아로다 삼월이라 삼짇날 제비새끼 명마구리 바람개비가 떴다 에라디여 에헤이요 에헤이여라 방아흥아로다 사월이라 초파일 관등하러 임고대

자진방아타령 Various Artists

일 3) 자진방아타령 - 얼씨구 절씨구 자진 방아로 돌려라 * 아하 에이요 에이여라 방아흥아로다 - 정월이라 십오일 구머리장군 긴코배기 액막이 연이 떴다 * 에라디여 에헤요 에이여라 방아흥아로다 - 이월 한식날 종달새 떴다 - 삼월이라 삼짖날 제비 새끼 명마구리 바람개비가 떴다 - 사월이라 초파일 관등하러 임고대 사면보살 장안사

금드렁 타령 Various Artists

곡조는 난봉가 선율에 가깝다. 구슬픈 느낌이 난다.

사설 난봉가 오복녀

* 에헤야 어야 어야야 디야 내 사랑아 에헤 왜 생겼나 왜 생겼나 고다지 곱게도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왜 생겼나 고다지 곱게됴 왜 생겼나 무쇠 풍구 돌 풍구 사람의 간장을 다 녹여내누나] * 에헤어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에헤 앞집 처녀가 시십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이 목 매러 간다 [앞집 처녀가 시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이 목매러 간다 사람 죽...

긴 난봉가 황해도민요

*아하 ~ 이 ~ 에헤이야 어라함마 둥둥 내 사랑아. 1.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에 에헤에 에헤이야 어라함마 둥둥 내 사랑아. 2.사면십리 느러진 능파 능파 속에 님 찾아 갈 길이 망연이로다. 3.오금이 오슬오슬 춥고 골머리 사지봉 나는건 님으로 연하여 난 병이로다. 4.만경창파 거기 둥둥 뜬 배야 한 많...

연평도 난봉가 오복녀

* 나나나나 산이로구나 아니 놀고 ?할소냐 소연평산은 칙산이요 연평산은 춤산이로다 우리집 새서방 재간이 좋아서 게딱지 타고서 낚시질 간다네 낙가리봉에 엿 사다 붙인거 슬슬 동풍에 다 녹아 나리네 깐죽깐죽 시누이 잡년 범 난골로 몰아 드려라 돌아오네 돌아오네 버렴뿌려 배 돌아오네 정산곳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이삼일만에 배 돌아오네

잦은 난봉가 황해도민요

1.넘어 넘어 간다 넘어 간다 자주 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 간다.

병신 난봉가 오복녀

* 에에헤에 어야 어야야 디야 내 사랑아 능라도 수양버들이 내가 휘여 잡고서 가지를 말라고 생야단이라. * 후렴 임이 저리 더정타고 속의 속정을 주지마라 일후에 남되면 후회막급이가. * 후렴 하늘 중천 뜬 달이 거울과도 같다면 님에다 가삼을 비춰주련만은. * 후렴

잦은 난봉가 오복녀

넘어간다 넘어 넘어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간다 * 에헤에 에헤야 어야 더야 어허야 어러험마 듸여라 내 사랑아 실죽 밀죽 잡아당길줄만 알았지 생사람 죽는줄 왜 몰라주나 * 후렴 무정방초는 년년이 오건만 한번 간 우리님은 가고 영절이라 * 후렴 사랑 사랑 사랑아 내가 놀던 사랑 한아름 덤썩 안구서 단둘이 놀던 사람 * 후렴 이 몸이

병신 난봉가 황해도민요

*에 ~ 어 ~ 어거야 어야어야 디여라 네가 내 사랑아. 1.병신의 종자가 또 따로 있나 남아가 돈 떨어지면 병신이지. 2.능라도 수양버들 휘여휘여 잡고서 가지를 말라고 생야단만 친다. 3.남의 님이 다정타 속의 속정 주지 마라 일후에 남되면 후회 막급이라. 4.이팔청춘 예쁜 아희들아 백발을 보고서 깔깔 웃지 마라. 5.바람아 광풍아 부지...

개성 난봉가 오복녀

박연폭포 흐르고 나리는 물은 범사정으로 감돌아든다. * 에 에헤야 에 에루화 좋고 좋다 어러럼마디여라 내 사라아 박연폭포가 제아무리 깊다해도 우리나 양인의 정만 못하리라. * 후렴 월백 설백 천지백허니 산심 야심이 객수심이로다. * 후렴 니가 잘나서 천하일새이더냐 내눈이 어두워서 환장이로구나. * 후렴 가는 님의 허리를 더두 덥썩 안고 가지를 말라...

긴 난봉가 오복녀

* 아하아 에헤야 에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헌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 에헤 에헤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오금이 오실오실 춥고 골머리 사지통 나는 데 임자로 연하여 난 병이로다 * 후렴 만경창파에 거기 둥둥 뜬 배야 게 잠깐 닻 주어라 말 물어보자 * 에헤헤 에헤로구나 덩기덩기여라 닐니리 고만 두잤구나 어럼마...

사설 난봉가 고주랑

사설 난봉가 - 고주랑 에헤~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요다지 곱게도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요다지 곱게도 왜 생겼나 무쇠 풀무 돌 풀무 사람의 간장을 다 녹여 대누나 아하 어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에헤~ 앞 집의 처녀는 시집을 가는데 뒷 집의 총각은 목 매러 간다 앞 집의 처녀는 시집을 가는데 뒷 집의 총각은 목 매러 간다 사람

스카 난봉가 유희스카

넘어간다 넘어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 간다 에헤에 에헤야 어야 더야 어허야 어러험마 디여라 내 사랑아 실죽 밀죽 잡아 당길줄만 알았지 생사람 죽는 줄 왜 몰라주나 에헤에 에헤야 어야 더야 어허야 어러험마 디여라 내 사랑아 에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나고 이십리 못가서 불한당

긴 난봉가 AudioBanana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에헤 에헤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허~어~ 내사랑아 오금이 오슬오슬 춥고 골머리 사지통 나는건 임자로 연하여 난 병이로다 에헤 에헤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허~어~ 내사랑아 에~ 헤~ 에헤야 나~ 둥둥 내 사랑아

경기민요 개성난봉가(박연폭포) Various Artists

이곡은 굿거리 장아네 흥겨운 맛이 넘치는 노래로 통상 경기민요로 분류되지만 황해도 지방의 난봉가 계통의 영향을 받아서 생겨난 노래로 짐작되고 있으며, 서도 창법으로 불러도 아주 맛깔스럽다. 이 녹음은 1928년 빅타의 첫 한국음악 녹음이라 다른 음반에 비해 잡음이 다소 더 난다.

자진 뱃노래 송소희

?어기야 디여차 어이야디야 어기여차 뱃노리 가잔다 어기야 디여차 어이야디야 어기여차 뱃노리 가잔다 만경창파에 몸을 실리어 갈매기로 벗을 삼고 싸워만 가누나 배 띄워라 어기야 디여차 어이야디야 어기여차 뱃노리 가잔다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어이야디여...

자진 수심가 김옥엽

수심가를 부르고 나서는 반드시 “자진 수심가”를 부르는데 곡조도 상당히 빠르고 막판에는 수심가토리로 느리게 엮어 나간다.

자진 사랑가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창익 (중중머리) 사랑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사랑이로구나 내 사랑이야. 으흐 흐흐흐 내 사랑이로다. 섬마 둥둥둥 내 사랑이야. 네가 금이냐 네가 금이냐? 금이란 말이 당치 않소 옛날 초한 적 진평이가 범아부를 잡으랴고 황금 사만을 흩었시니 무슨 금이 되오리까? 내 사랑 내 간간 내 알뜰이로다. 섬마 둥둥둥 내 사랑이야. 이얘 그러...

자진 뱃노래 아리수

편곡 Woody Kim, 노래 아리수 어야디야(어야디야) 어기야디야(어기야디야) 어기야디야 에헤 에헤에헤 에헤에헤 야 에헤에헤 에헤야 어허야 어야디야(어야디야) 어기야디야(어기야디야) 1. 달은 밝고 명랑한데(어야디야) 고향생각 절로난다(어야디야) 어야디야(어야디야) 어기야디야(어기야디야) 어기야디야 에헤 에헤에헤 에헤에헤 야 에헤에헤 에헤야 어허...

자진 뱃노래 양다연

어야디야 / 어야디야 / 어기야디야 / 어기야디야/ 어기야디야 에헤 에헤 에헤 야 에헤에헤 에헤야 어허야 어야디야 / 어야디야달은밝고 명랑한데 / 어야디야 / 고향생각 절로난다 / 어야디야 / 어기야디야 / 어기야디야 / 어기야디야 에헤 에헤 에헤 야 에헤에헤 에헤야 어허야 어야디야 /어야디야 순풍에다 돛을 달고 / 어야디야 / 원포귀범 떠들어온다 /...

사설 난봉가 (중중모리) 경기도 민요

에------------- 1. 앞집의 큰애기 시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은 목매러 간다 앞집의 큰애기 시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은 목매러 간다 사람 죽는건 아깝지 않으나 새끼 서발이 또 난봉나누나 아 하아하아 아야-어야-하디야-하-내 - 사- 랑아- 2. 나를 버리고 가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이 난다 나를 버리고 가는 님은 십리도 못가...

사물놀이 Various Artists

칠채를 빨리 몰아 가다가 벙어리 칠채라하여 첫박의 주작을 쉬는 가락을 몰고 가다가 자진 칠채로 몰고 급기야는 마당일채로 들어가는데 이것을 사물놀이패에서는 육채라 한다. 이 가락을 육체라 이르는 이유는 알 수 없다. 이 가락은 3분박과 2분박이 (2+3+3+2)으로 구성된 혼분박 4박자(10/8)이다. 육채라는 것을 빨리 몰고 나서 삼채로 넘어간다.

한강수타령 김란홍

뒷소리의 사설이 <난봉가>의 경우 처럼 “얼싼마 뒤여라 내 사랑아”하고 사랑이라는 말이 들어가는 것도 그런 것을 뜻하는 것 같다. 요새는 <한강수타령>을 느린 굿거리 장단으로 부르나 김란홍이 부른 것은 자진 굿거리로 좀 빠르게 부르고 있어 훨씬 씩씩하다. 소리토리는 경쾌한 경토리로 되어 있어 밝다.

자진 휘여능청 (자진모리) Unknown

후렴] 휘여능청 버들가지 청실홍실 그네메고 님과나와 올려뛰니 떨어질까 염려로다 휘여능청 버들가지를 툭툭쳐라 1. 어찌보면 훨씬 멀고 어찌보면 가까운 듯 올라갔다 내려도는 양은 신선선녀 하강일세 2. 난초같이 고운머리 금박댕기로 너울너울 외씨같은 두발길은 만공중에 노리난 듯 3. 송백양 푸른가지 높이높이 그네메고 오락가락에 노는 양은 우리처녀들...

뱃노래, 자진 뱃노래 김보연

뱃노래 / 자진 뱃노래 김보연 어기야 디여차 어허야 디야 어기여차 뱃놀이 가잔다 배 띄워라 노 저어라 배를 띄워라 만경창파 임을 싣고 뱃놀이 가잔다 어기야 디여차 어허야 디야 어기여차 뱃놀이 가잔다 창해만리 먼 바 다에 외로운 등불만 깜빡거린다 어기야 디여차 어허야 디야 어기여차 뱃놀이 가잔다 <간주중> 소정에 몸을 싣 고 잠깐 조을제

자진 방아 타령 전숙희

얼씨구 절씨구 자진방아로 돌려라 아하 에헤요 에이여라 방아홍아로다 정월이라 십오일 구머리 장군 긴코배기 액맥이 연이 떴다 에라디여 에헤야 에이여라 방아홍아로다 이월이라 한식날 종달새 떴다 아하 에헤요 에이여라 방아홍아로다 삼월이라 삼짇날 제비 새끼 명마구리 바람개비가 떴다 에라디여 에헤야 에이여라 방아홍아로다 사월이라 초파일 관등하러 임고대 사면보살 ...

자진 사랑가 1 모보경, 이상호

[아니리]“나 그것 되기 싫소.”“어찌 그렇단 말이냐?”“살어서 밑으로 가는 것도 원통헌디 죽어서도 아래로만 가라 하시니 나 그것 재미없어 되기 싫소.”“그러면 네가 위로 가게 하여주마.”[중중모리]“내 사랑 너 죽어 될 것 있다. 너는 죽어서 돌매 웃짝 되고 나는 죽어 매 밑짝 되어 사람의 손이 얼른허면 천원지방의 두 짝으로 홰홰 돌려 갈거들랑 네가...

자진 사랑가 2 모보경, 이상호

[아니리]“나 그것도 되기 싫소.”“네가 위로 갔는데도 싫단 말이냐?”“욱으로는 갔어도 가운데 주인 삼어 따러 다니는 조가 미워 그것도 되기 싫소.”“춘향아, 그는 팔자소관이라 하는 수 있느냐? 우리 그건 그만 두고 업고나 놀아보자.”“업고 놀다 미끄런 장판방에서 넘어지면 어쩌실라고.”“넘어지면 좋지. 넘어지는 체 하고 그 속 알겠느냐?”도련님이 춘향...

자진 사랑가 3 모보경, 이상호

[아니리]도련님이 춘향을 내려놓더니, “춘향아, 사랑가도 품앗이다. 내가 너를 업어줬으니 너도 나를 업어줘야지.”“내가 도련님을 무거워서 어찌 업어요?”“내가 너 업듯이 업으라는게 아니라 네 양 어깨에다 내 두 팔을 들어 얹고 너 다니는 대로 징검징검 따라다니면 되지 않겠니?”춘향이가 할 수 없이 도련님을 업고 노는디 부끄러워 서방님 소리는 못허고 ‘...

개성난봉가 김란홍

<난봉가>는 그 종류가 많다.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등 갖가지 <난봉가>가 황해도에서 발생하였는데, 경기도 개성지방에서도 <난봉가>가 생겨났으니 이를 ‘개성난봉가’라 이르는 것이다. 이 민요의 첫 마디 사설에 “박연폭포 흐르고 나리는 물은”하는 말이 나오기 때문에 일명 ‘박연폭포’라 이르기도 한다.

Various Artists [클럽1004] Club Dance 가요 리믹스 Vol.3 Non-Stop

[클럽1004] Club Dance 가요 리믹스 Vol.3 Non-Stop - Various Artists ------------------------------------------------------------------ 1. Sexy Music - The Nolans 2. 지하철을 타고 - 왁스 3.

어기영차 (뱃노래+자진 뱃노래) 아라지오

어기영차 어기영차 어기영차 아! 어기영차 아! 어기영차 아! 어기영차 부딪치는 노젓는 소리 밤잠을 깨우니 장가 못 간 옆집 총각 안달이 났구나 비 내리는 어두운 밤에 개구리 우는 소리 시집 못 간 이내 심정 처량도 하구나 어기야 디영차 (어기영차) 어기야 디영차 어기야 디여어 어기 영차 뱃놀이 가잔다 2x 뱃놀이 가잔다 어기영차 (어기영차) 3x...

자진 들내기 소리 (자진모리) Unknown

후렴] 어허야 어허허야 들들 내기야 어허야 어허허야 들들 내기야 흥이 났네 흥흥이 났네 우리 농군들 흥흥이 났네 날 오란다네 날 오란다네 산골 처녀가 날 오란다네 무얼 하자고 날 오라던가 오늘 저녘밥 새우젓 놓고 혼자 먹기가 심심타고 둘이 먹자고 날 오란다네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다되어 간다네 다되어 간다네